반응형
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면서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발생하는 <파킹통장>으로 갈아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. 파킹 통장의 특징과 차이점을 정리합니다.
파킹 통장이란?
- Parking 영어의 '주차'라는 의미를 붙인 통장입니다.
- 차를 잠시 주차하는 것처럼 돈을 언제든지 입금 출금이 가능한 통장이라는 의미입니다.
- 저축은행, 인터넷 전문은행에서 파킹 통장 상품을 내놓기 시작해서 보통 은행상품도 있습니다.
- 2~3%의 금리를 제공합니다.
- 제1금융권 입출금 통장과 다르게 매일매일 이자가 발생되기 때문에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파킹 통장의 수요가 늘어나는 이유?
정기예금이나 채권 주식을 통한 재테크로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, 일정기간 동안 돈이 묶이게 됩니다. 경기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언제라도 돈을 쓸 수 있도록 관망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.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면서 하루를 맡겨도 이자를 주는 파킹 통장을 이용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이유입니다.
파킹통장 유의할 점
파킹 통장 최고금리가 적용되는 금액의 한도가 정해져 있으니 확인해야 합니다.
최대 5,000만원 까지 예금자보호가 되는 상품으로 그 보다 큰 금액을 예치하려면 금융사에 쪼개서 두는 것이 안전한 방법입니다.
증권사에도 비슷한 상품이 있다는데?
증권사에서도 하루만 돈을 넣어두어도 이자를 받을 수 있는 MMF, CMA 상품이 있습니다.
- MMF (money market fund) : 증권사가 금리가 높은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한 뒤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상품입니다. 수익률이 높은편이지만 원금을 잃을 수 있는 위험을 지니고 있습니다.
- CMA (cash management account) : 자산관리계좌라고 합니다. 증권사가 국공채, 안전한 회사채에 투자한 다음 수익이 나면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상품입니다.
MMF CMA 파킹 통장과 차이점 확인
- 증권사 MMF, CMA 상품이 파킹 통장보다 금리가 높은편입니다.
- 하지만 파킹 통장에 비해서 원금을 잃을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.
- 파킹통장과 달리 일반적으로 예금자 보호를 받지 못합니다. (일부상품 제외)
파킹통장 최고 금리 확인하는 방법(증권사 포함)
728x90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지원사업 지차체 복지 서비스 (1) | 2024.08.27 |
---|---|
신용카드 미납 하루 연체 기간별 카드 정지 어떻게 될까? (0) | 2024.07.05 |
토스증권 거래 수수료 국내주식 해외주식 면제 가능할까? (0) | 2024.06.24 |
토스증권 PC 차트 거래 커뮤니티 가능 버전 이용방법 쉬운 로그인 (0) | 2024.06.05 |
그림 그려주는 무료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사용방법 (0) | 2024.05.10 |
알리익스프레스 휴대폰 풀커버 액정 필름 구입 후기 (갤럭시 / 아이폰) (0) | 2024.05.01 |
가족 공연 추천 세종문화회관 연극 뮤지컬 무용 공연 일정 할인 정보 (2) | 2024.04.29 |
댓글